새소식

ETC

[VS code] 파이썬 가상환경 세팅

  • -
728x90

가상환경은 처음 세팅하려고 하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고 막막한 경우가 많다. 나도 처음 머신러닝, 딥러닝 공부하면서 Keras나 Pytorch는 가상환경을 새로 만들어서 거기 설치하는 게 좋다 이런 이야기를 들어도 무슨 소리지... 하기도 했고...

window 환경에서 VS code를 이용해 파이썬 가상환경을 세팅하는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다. 최근 VS code를 이용하는 게 편해서 개인 기록 겸...


가상환경을 만드는 이유

프로젝트마다 격리된 환경(즉, 가상 환경)을 생성함으로써 프로젝트별로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해서 만든다. 

파이썬을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패키지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패키지 간의 dependency가 있는 경우 버전이 조금만 안맞아도 에러가 발생한다. 실제로 가상환경을 사용하지 않고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하다가 충돌 나서 아나콘다를 아예 삭제하고 재설치했던 경험이 있다. 


가상환경 설치

window 환경에 VS code와 python을 설치해뒀다는 가정 하에 진행된다.

1. VS code에서 프로젝트 폴더 열기

먼저 vs code를 실행하고 폴더 열기를 선택해서 새 프로젝트를 진행할 폴더를 연다.

임의의 새 폴더를 하나 만들어 보았다. 

여기서 ctrl+`혹은 위의 터미널을 클릭해 터미널 창을 연다

2. 터미널 창에 코드 입력하기

python -m venv newvenv

newvenv가 들어갈 자리에 가상환경 이름을 지어주면 된다. 예시에서는 newvenv를 사용했지만 어떤 이름이든 상관없다. 위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만들어뒀던 폴더에 그 이름으로 된 폴더가 생성될 것이다.

3. 인터프리터 설정

이 상태로는 가상환경을 이용할 수 없고 따로 인터프리터를 연결해주어야한다.

ctrl + shift+ p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여기서 interpreter를 검색하면 인터프리터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뜬다.

여기서 방금 생성한 newvenv를 선택해주면 된다.

새로운 터미널 창을 열어 확인해보면 newvenv에 접속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로는 포스팅 내용과 크게 관계 없는 사담

더보기

얼마 전에 가상환경을 설정하려고 했는데 pip install이 안되서 뭐가 문제지 했는데 컴퓨터를 포맷하고 파이썬 두 번 설치할 필요있나 하면서 아나콘다만 설치해뒀는데 아나콘다를 환경변수에 추가하는 걸 안해서...

만약 설치할때 아나콘다만 설치해서 파이썬을 쓴다고 하면 위의 Add Anaconda3 to my PATH environment variable도 꼭 체크하도록 하자... 아니면 나처럼 라이브러리 설치하다가 왜 pip install이 안되는거지하면서 삽질하게 된다.

 

728x90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