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코딩테스트/LV.1

[프로그래머스][파이썬] LV.1 과일 장수

  • -
728x90

문제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k ≤ 9
  • 3 ≤ m ≤ 10
  • 7 ≤ score의 길이 ≤ 1,000,000
    • 1 ≤ score[i] ≤ k
  •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

내 풀이

def list_chunk(lst, n):
    return [lst[i:i+n] for i in range(0, len(lst), n)]

def solution(k, m, score):
    answer = 0
    score = sorted(score, reverse=True)
    
    split = list_chunk(score, m)
    
    for i in split:
        if len(i) != m: break
        answer += min(i) * m
    
    return answer
  • 먼저 list를 특정 길이만큼 분할 해주는 함수를 선언
def list_chunk(lst, n):
    return [lst[i:i+n] for i in range(0, len(lst), n)]
  • sorted를 사용해 score를 정렬
  • 위에서 선언한 함수를 사용해 리스트를 분할
  • 분할한 리스트를 for문으로 돌면서 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라고 했으니 길이가 m보다 짧으면 break
  • 그게 아닐경우 가장 낮은 점수 * m한 값을 answer에 누적
728x90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